시 간 | 구 분 | 주요내용 | 비고 | |||
~14:00 | 등록접수 | |||||
14:00~14:20 | 개 회 식 | 개회사 | 전기협회, 여시재, 전기신문 | - | ||
축 사 | 국회, 정부 | |||||
14:20~14:40 | 기조연설 | 전력과 북한의 미래 산업 | 이광재 원장 | |||
(재)여시재 | ||||||
14:40~14:55 | 세션1 (사회: 문승일 서울대 교수) |
전력을 중심으로 한 향후 북한 신성장 산업 | 윤재영 본부장 | |||
한국전기연구원 | ||||||
14:55~15:10 | 스마트그리드와 스마트시티 Test Bed로서의 북한 | 원동준 교수 | ||||
인하대학교 | ||||||
15:10~15:40 | 일본의 에너지 정책 관점의 동북아 전력 협력 | 스즈키 쇼타로 서울지국장 니혼케이자이 신문 |
||||
15:40~16:00 | 휴 식 | |||||
16:00~16:20 | 기조연설 |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 타당성 | Tomas Kaberger(日) | |||
자연에너지재단 | ||||||
16:20~16:35 | 세션2 (사회: 김연규 한양대에너지 거버넌스센터 소장) |
남-북 전력망과 동북아 슈퍼그리드 | 이성규 팀장 | |||
에너지경제연구원 | ||||||
16:35~17:05 | 중국 동북3성과 중-북 전력 연계 | Lei xiaomeng (中) | ||||
중국전력기업연합회 | ||||||
17:05~17:35 | 미국 기업의 동북아 슈퍼그리드 참여 방안 | Richard Weitz (美) | ||||
허드슨 연구소 | ||||||
17:35~18:00 | 종합토론 | 라운드 테이블(포토세션) | 세션1, 2 발표자 | |||
18:00 | 폐 회 |